정보통通/상식박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궁금해요] 신부님은 왜 결혼을 안 하나요? 궁금해요 신부님은 왜 결혼을 안 하나요? 세속화 막고 신에게 온전히 봉사하기 위한 선택 천주교와 개신교는 모두 기독교에 속하지만, 성직자의 결혼 가부는 종단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전혀 다른 결론이지만, 로마 가톨릭 사제와 개신교 성직자 모두 성경을 기준으로 결혼의 가부를 정한 것입니다. 사도 바울이 기록한 고린도전서 7장 1~2절에 보면, 혼인에 관해 ‘너희의 쓴 말에 대하여는 남자가 여자를 가까이 아니함이 좋으나 음행의 연고로 남자마다 자기 아내를 두고 여자마다 자기 남편을 두라’고 기록돼 있습니다. 사도 바울은 이같이 남자와 여자에게 각각 자기 아내와 남편을 두라고 했습니다. 홀로 지내다가 음행에 빠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덧붙여 말하기를 7절에서는 ‘나는 모든 사람이 나와 같기(독신)를 원하노.. 더보기 [지혜의 말] 공자 어록 지혜의 말 공자 어록 ▲ 공자. - 공자 어록 中 - 다음의 네 가지를 두려워해야 한다. 첫째, 도의에서 벗어나는 것. 둘째, 학문을 게을리 하는 것. 셋째, 정의를 듣고도 실행치 못하는 것. 넷째, 착하지 않음을 고치지 못하는 것. 이를 항상 두려워하고, 그렇지 않았을 때는 즉각 반성하고 고쳐야 한다. 더보기 [궁금해요] 절이나 시골에 있는 칠성당은 어떤 곳인가요? 궁금해요 절이나 시골에 있는 칠성당은 어떤 곳인가요? ▲ 칠성당 비와 장수와 재물의 신 - 칠성신(七星神) 모신 곳 칠성당은 칠성신을 모신 집을 뜻합니다. 칠성 신앙은 환국, 배달국 시대부터 내려오는 한민족만의 고유 신앙으로, 옥황상제님이 자미원과 북두칠성에 계신 것으로 믿고 기도해온 한민족의 하느님 신앙이었습니다. 시골 어귀의 칠성당이 산사로 장소를 옮기면 칠성각이라 불립니다. 수천 년 내려오던 민초들의 뿌리 깊은 신앙을 불교가 신라 때에 수용하여, 대웅전 뒤편에 칠성각으로 남겨두었습니다. 삼국유사를 보면 불교가 법흥왕, 진흥왕 등의 권력을 업고 전래의 당집, 칠성당 등을 절로 바꾸자, 민초들이 외래종교에 항거하여 불을 지르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불교는 민초들을 끌어안고자 불가피하게 칠성각, 삼성각을 .. 더보기 [지혜의 말] 알버트 슈바이처 어록 지혜의 말 알버트 슈바이처 어록 ▲ 알버트 슈바이처 의사. - 알버트 슈바이처 의사 어록 中 - 성공이 행복의 열쇠가 아니라 행복이 성공의 열쇠다. 자신의 일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그는 이미 성공한 사람이다. 가장 행복한 사람으로 찬양받을 만한 사람은 가장 많은 사람을 행복하게 해준 사람이다. 더보기 [궁금해요] 이슬람교 여성들이 머리에 쓰는 건 뭔가요? 궁금해요 이슬람교 여성들이 머리에 쓰는 건 뭔가요? ▲ 히잡 히잡 ‘정절·정숙함의 의미 상징’ ‘히잡(hijab)’이라고 하며 아랍어로 ‘가리다’ ‘보호하다’란 의미입니다. 스카프나 두건과 비슷하며, 모양에 따라 얼굴과 가슴까지 가리는 것과 얼굴을 드러내는 것 두 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히잡을 통해 정절을 상징적으로 보여줌과 동시에 내면의 정절을 갖추도록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히잡이 이슬람권에서만 사용됐던 것은 아니며, 오래 전부터 아랍지역, 아프리카에서 종교와 상관없이 기후, 풍토의 영향을 받은 의복 문화라고 볼 수 있습 니다. 이슬람 경전인 ‘꾸란’에는 여성의 정숙함을 위해 머리와 가슴을 가리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히잡은 지역이나 종교적 성향, 계층이나 나이, 취미 등에 따라 형태나 .. 더보기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3 다음